즉, 무량판 공법이 건물의 붕괴를 야기한다는 공포감에 내 집 구조가 무량판 구조는 아닐지 걱정하는 것은 잠시 내려놔도 된다는 것이죠.
중요한 건 정확한 시공 절차
중.정.시. 중요한 건 정확한 시공 절차라는 거예요. 우리가 사는 아파트가 무량판 구조인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정확한 시공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지어진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또한 정부는 이번 무량판 이슈를 시작으로 국내 건설업체의 불공정 하청업체 고용 등에 대한 불법행위 제재방안을 마련하겠다 이야기했죠.
부실공사 진상규명 TF는 각 건물마다 흩어져있는 법을 하나로 모으는 ‘건축물 구조 안정 강화법’ 제정을 준비중에 있어요.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회장은 현재 많은 권한을 건축사가 독점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선 설계·시공·감리에 대한 정확한 영역별 책임과 권한 분배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죠.
우리가 사는 공간의 안전을 위해
무량판 공법은 검증된 안전한 공법이 맞지만 불공정한 절차로 시공이 이루어진다면 안전한 공법도 안전한 건물도 존재할 수 없어요. 하루 빨리 관련 제정법이 마련되어 공정한 시공과정에서 지어진 건물로 가득할 날이 오길 바랄게요.🙏
화면해설가, 세상을 글로 그려내는 사람들
내 말을 들으면 온 세상🌍이 떠오를 거야
지난 7월 개봉한 영화 밀수 본 구독자, 혹시 있나요? 천만 감독으로 이름이 높은 류승완 감독이 연출한 영화라고. 이미 500만 관객을 눈앞에 둔 인기 있는 영화지만, 에디터가 굳이 이 영화를 또 소개하는 이유가 있어요. 바로 영화 주연인 박정민 배우가 사비를 털어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 상영회를 열었기 때문!😍
[출처: 넥스트앤터테인먼트]
화면해설? 그게 정확히 뭔데? 시각·청각 장애인 분들은 일반 극장에 걸리는 영화 감상이 불편할 수밖에 없잖아요? 때문에 장면을 말로 설명해주는 화면해설과, 음성 등 각종 소리를 글로 적은 자막해설을 함께 제공해주는 거예요. 일상생활 속 장애인들의 장벽을 없애는 배리어프리 활동의 일환이라고.
세상을 글로 그려내는 사람들📝
이런 화면해설 영화에는 특히 화면해설가의 역할이 중요해요. 화면해설가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성우가 녹음할, 화면의 ‘해설’ 부문을 창작하는 작가님들인데요.
5초의 마술사 : 사운드플렉스 강내영 대표님의 말에 따르면 대사와 대사 사이 빈 공간은 평균 5초. 이 5초 동안에 많은 정보를 흐름에 맞게 녹여내야 한다고.
이웃, 가족, 친구를 위해 : 화면해설가 임현아 작가님은 장애를 앓고 있는 동생에게 영화를 설명해주다 화면해설가를 꿈꾸게 되었다고. 이처럼 장애 때문에 콘텐츠를 즐길 수 없는 이들은 우리 주변의 이웃이에요.
아직은 갈길이 먼 배리어프리 콘텐츠
이런 화면해설가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배리어프리 콘텐츠는 아직 많이 부족한 상태라고 해요.😞
의무 할당량만 채워 : 지상파 방송은 전체 방송의 10%를 화면해설방송으로 편성해야 해요. 하지만 할당량만 채우면 멀쩡히 진행하던 해설 방송을 중단해버리는 일도 비일비재하다고. 멀쩡히 콘텐츠를 즐기던 장애인들은 더 이상 화면해설방송을 즐길 수 없게 되고요.
화면해설도 ‘빨리빨리’ : 화면해설사에게 주어진 기간이 짧다 보니 모니터링이나 감수 없이 바로 녹음에 들어가는 경우가 잦다고 해. 당연히 퀄리티가 떨어질 수밖에 없겠지? 요즘엔 그나마 사전제작 작품이 늘어나서 좋은 콘텐츠가 늘어나고 있다고.
제작사가 요청한 작품만 : 앞서 말한대로 편성 비율을 맞추기 위한 작품이나, 제작사가 요청한 작품들만 배리어프리 콘텐츠로 제작된다고 해. 반면 넷플릭스의 경우 모든 미국 오리지널 콘텐츠에 화면해설과 자막을 ‘당연히’ 제공한다고.
모든 사람들이 즐겁게 영화를 보는 세상이 오기를🎥
2022년 부산국제영화제에 출품된 403편의 작품 가운데 화면해설이 포함된 작품이 얼마인지 아시나요? 고작 3%, 약 10여 편 뿐이라고 해요.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영화를 즐길 수 있는 선택지 자체가 몹시 부족한 거죠.
화면해설사 홍미정 작가는 이렇게 말해요. “큰 변화를 바라는 게 아녜요. 보고 싶은 영화를 함께 즐기자는 겁니다.” 재미있는 영화를 다만 함께 즐길 수 있는 세상이 더 빨리 찾아오기를 바라며, 오늘 스토리 마칠게요.👋
오늘 체리팀이 준비한 임팩트스토리는 여기까지에요. 오늘 스토리는 어땠나요?😃 임팩트스토리에 대해 다른 구독자들과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준비해봤어요. 좋은 점이나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 혹시 임팩트스토리가 다뤄줬으면 하는 궁금한 이슈가 있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서 알려주세요!